1.변수와 상수를 선언하는 문법
변수
변수는 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문법 입니다.
언제든지 새로운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4개의 토큰이 필요합니다.
*토큰: 문법적으로 더이상 나눌 수 없는 요소
var variableName = initialValue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변수 선언 키워드
var 가 있어야 합니다.
그 뒤에 변수의 이름이 와야 합니다.
변수의 이름은 본인이 알아서 정해야 합니다.
그 뒤에는 연산자 = 가 있어야 합니다.= 는 Assignment Operator(할당연산자)라고 합니다.오른쪽에 있는 initialValue 를 왼쪽에 있는 variableName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에 있는 initialValue는 처음에 저장할 값을 의미합니다. 이것도 본인이 직접 정해야 하는 값입니다.
예시를 들어
이런식으로 변수를 만들게 된다면 "kms"라는 문자열 값이 name이라는 변수에 저장되게 됩니다.
문자형은 반드시 "" 큰따옴표로 감싸주어야 합니다.이런 값을 문자열 리터럴(String Literal)이라고 합니다.
프로젝트에서 저장된 값을 사용하고 싶다면 print 같은 함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변수에 새로운 값을 추가하려면
맨 앞에 var 키워드 없이
name = "kim" 과 같이 적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적으면 name 에 있던 kms 라는 값이 kim 으로 바뀌게 됩니다.
상수
상수는 값을 저장한후에 바꿀 수 없습니다.
상수는 var 대신 let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상수에 저장된 값을 읽고싶으면 변수와 같습니다.
상수와 변수의 다른점은 값을 바꿀 수 없다는 점 입니다.
name = "kkkkmmmmssss"
이런식으로 값을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Cannot assign to value: 'name' is a 'let' constant
라는 오류 메세지가 나오게 됩니다.
name 은 let 으로 선언된 상수여서 값을 저장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name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려면 상수를 변수로 바꿔야 합니다.
키워드만 var 로 바꿔주면 됩니다.
3. 변수와 상수중에 어떤것을 사용해야 할까?
값을 저장할 필요가 있다면 상수로 먼저 저장해주세요
값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면 그때 변수로 바꿔주세요
하지만 값이 바뀌는게 명확하다면 처음부터 변수로 선언하세요.
상수로 값을 정해준다면 두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코드가 안전해집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코드가 수십만줄, 수백만줄이 있기 때문에 여러 코드에서 변수나 상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변수에 값을 저장한다면 언제 어디서 값을 바꿨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반대로 상수로 저장한다면 값이 항상 같기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값을 읽기 쉽습니다.
두번째는 값이 바뀌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최적화를 하기 때문에 조금 더 빠른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출처:kxcoding Essential Swift 강좌